목록
1. 금 시세
2. 금 사러 갈 때 확인할 점 (세공비, 부가세. 예약금 등)
3. 현물 금 싸게 사는 방법
드라마에서 금괴를 볼때마다 그냥 '저거 다 소품이지?' 헛웃음만 나왔던 것 같아요
금이 안전자산이라는 건 알고 있었지만 뭔가 부자들이 재산을 은닉하는데 쓰는? 나와 전혀 관련짓지 못했던 그런 남 얘기 였지요
1. 금시세
금 시세라 쓰고 금의 가치라고 이야기 하고 싶네요
달러처럼 예측하기 어렵지만 시장 리스크가 올라가면 금값 올라간다는 말은 많이 들어보셨을거에요
1) 경제위기나 금융시장이 불안할 때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받는 자산이라 상대적으로 안전한 자산으로 여겨집니다
2) 전세계에 통용되는 자산
달러처럼 어디서나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동성이 높은 자산이죠
3) 인플레이션에 강하다?
금은 통화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물가가 오르면 금의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금이 물가상승을 헷지하는 자산으로 중요도가 올라가요
안전자산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빠른 수익화와는 거리가 있어서 주식, 코인, 외환 투자 대비 매력을 크게 못 느꼈던 것 같아요
하지만 트럼프가 대통령 되고 나서 시장이 정말 어제 오늘 달라지는 느낌..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경제학자 홍춘욱 박사님에 따르면 가장 많은 금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이지만 현 금매수세는 아시아에서 크다고 하네요 민간까지 합치면 인도와 중국이 투탑으로 한국 일본 대만에 이어지고 금융자산이 동결된 러시아의 수요가 높다고 하네요
홍춘욱님은 어제 다 매도 (25년 2월 6일자) 하셨데요.. 모든사람들이 다 금얘기를 하고 있으니 그걸 팔아서 다른 걸 사겠다고?!
금 사라고 하셨던 시점은 작년 11월 트럼프 당선 시점이었다고 하시네요
지금이 최고점이라 팔았다는 의미는 아니고 다른 투자처가 있어서 라고 하시네요
1년전엔 인플레이션 대비용으로 금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는 방송을 본 적 있었는데 저같은 금린이는 이제야 금에 관심을 가지는 거고 홍춘욱님 같은 분들은 자산 포트폴리오 중 하나신거죠
이제야 저도 자산의 포트폴리오로서 공부하고 싶어졌어요
금이 비싼 시기긴 하지만 관심 생겼을 때 조금 매입을 해보기로 하고 금은방을 다녀왔어요
2. 금 살 때 확인할 점
KRX 등으로 금을 매입하는 방법도 있지만 저는 실물을 좀 사보고 싶어서 금 매입방법을 찾아보다가 알게된 점을 공유해드릴께요
우선 여러곳에 전화를 미리 돌려서 확인해보세요
같은 지역안에서도 가격이 조금씩 차이가 있더라고요
하지만 알려주시는 기준이 달라서 가격차이가 있어보이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세요
1) 부가세 포함 가격 인지
2) 세공비 여부
3) 지불방법
4) 수령 시기
1) 가격구조 확인하기
사장님들 중에 부가세를 뺀 가격을 불러주시는 경우가 있는데요 아예 모르면 그가격을 시세와 비교해서 괜찮은줄 알고 갔다가 부가세 10% 더한 가격에 놀랄 수 도 있어요
금 시세 가격에 부가세 + 세공비 + 수수료 등을 더한 가격이 내가 사는 최종 가격입니다
팔든 사든 매매수수료가 붙는데 그건 ±5%로 보여지네요
금을 사는 순간 팔때 가격 대비해서 이미 10% 정도 (-)를 보는 상황이에요
기준시세 | 내가 살 때 | 내가 팔 때 | ||||
날짜 | 종가 | 전일대비 | 가격 | 증감 | 가격 | 증감 |
02.10. | 134,414.61 | 상승357.78 | 141,135.34 | 5% | 127,693.88 | -5% |
02.07. | 134,056.83 | 상승1,375.58 | 140,759.67 | 5% | 127,353.99 | -5% |
02.06. | 132,681.25 | 하락750.11 | 139,315.31 | 5% | 126,047.19 | -5% |
02.05. | 133,431.36 | 상승808.24 | 140,102.92 | 5% | 126,759.80 | -5% |
02.04. | 132,623.12 | 상승40.12 | 139,254.27 | 5% | 125,991.97 | -5% |
02.03. | 132,583.00 | 상승1,108.54 | 139,212.15 | 5% | 125,953.85 | -5% |
01.31. | 131,474.46 | 상승3,907.18 | 138,048.18 | 5% | 124,900.74 | -5% |
01.24. | 127,567.28 | 상승420.37 | 133,945.64 | 5% | 121,188.92 | -5% |
01.23. | 127,146.91 | 하락253.77 | 133,504.25 | 5% | 120,789.57 | -5% |
<네이버 신한은행 금시세 2025.2.10>
세공비도 확인하셔야 하는데요
제가 구매한 곳 기준으로 골드바 1돈 구입시 25000원 / 3돈 구입시 40000원 이었어요
(※ 세공비에도 부가세 붙기 때문에 1돈당 27500원 / 3돈당 44000원임)
같은 3돈을 구입해도 3돈짜리를 구입하시는 게 35000원 이득으로 3돈(1돈 =60만원가정시)으로 구입시 약 +2.2% . 1돈 x 3개 구입시 +4%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수수료나 세공비는 피할 수 없지만 유선상 문의했을 때 같이 알려주시는 곳은 없었어요
조금이라도 저렴한 곳을 찾으신다면 미리 확인하시기를요
3. 현물 금 싸게 사는 방법 (현금, 온누리 상품권. 중고거래)
가장 기본적으로 저렴하게 구입하는 방법은 현금 매입인데요
현금구입시에는 부가세를 안 받아요 그래서 업체마다 부가세 뺀 가격을 알려준 곳도 있는듯 해요
100%는 아니지만 재래시장안에 위치한 금은방 중에 온누리 상품권을 받아주는 곳이 있어요 부가세를 내야하기 때문에 10%할인은 의미가 없지만 올 설처럼 온누리상품권 추가 할인판매할 때를 노리셔서 좀더 할인 받아사시는 방법도 있어요하지만 이것도 -5% 정도 추가할인이기 때문에 메리트가 아주 큰건 아니에요그리고 제가 전화로 확인해본 결과는 동네엔 받아주는 곳이 없어서 다른 지역까지 가야 했으니 근처에 온누리 상품권을 받아주는 곳이 있다면!을 전제로 검토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만약 찾고자 하신다면 온누리상품권 가맹점포 찾기 서비스를 먼저 이용해보세요 지역 정하고 품목명 / 금 으로 설정 후 검색하시고 이중에 유선상 연락을 해보시는 방법으로 찾으실 수 있어요
금도 중고거래를 하면 부가세를 피할 수 있어서 구매할 수 있다고는 하는데 인증, 사기 문제 등이 있고 중고거래 플랫폼은 제가 경험해본 부분이 아니어서 자세한 내용은 패쓰합니다
상투잡는거 아닌가? 싶기도 했지만 트럼프의 광폭행보와 중국, 아랍 등 타국가들의 대응이 불안해서 금값이 떨어질일이 있을까 싶어서 저는 샀습니다
금은 끝났다라고 보기엔 금이 사이클을 시작하면 단기간에 끝난 적이 없다(보통 10년?)고 하네요 (박정호 교수의 경제 야시장 - 양베리 조규원 작가) 고로 장기투자 자산일 수 밖에 없겠는데 이번에 가격을 물렸더라도 현물로 소장하는 든든함이 있어서 매력이 있네요
월급 받을 때마다 매월 금 매입을 해볼 생각인데요
이번엔 현물을 샀지만 현물을 더 사기엔 들어가는 부대비용이 상당히 세다는 걸 알게 되서 다음 매입은 KRX로 사고 목돈이 좀 생기면 현물을 간혹 모으는 방향으로 가보려고 해요 부가세를 내고 사긴 하지만 내가 언젠가 매도할 때 세금을 또 매기진 않으니까요
'얇디 얇지만 도움되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사팀에서 쓰기좋은 계약서 자동작성(기록용) (0) | 2025.03.25 |
---|---|
Chat GPT for Gmail : G메일에 Chat GPT 로 자동메일작성하기 (0) | 2025.03.19 |
이영자 님픽 고속도로 휴게소맛집 13곳 (0) | 2025.01.24 |
달러환전으로 돈벌기 팁 (0) | 2025.01.22 |
전업주부 피부양자 유지자격 연말정산/건강보험 팁 (0) | 2025.01.20 |